[부동산대책]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
728x90
참고자료: 국토교통부
"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이 가능할까? "
이번에 개정된 법률 상 갱신되는 임대차는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계약된 것으로 보므로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은 임차인 동의 없는 한 곤란합니다.
동의에 의해 전환하는 경우에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 2에 따른 법정 전환율 규정이 적용됩니다. (아래참조)
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 2의 1과 2에 나와있는 비율이란?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
" 임차인 동의 후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 때 월세는 어떻게 정해질까? "
(법정 월차임 전환율 조정 전 기준)
주택임대차법 제7조의 2에 나와 있듯이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월 단위 차임으로 전환하는 경우, 전환되는 금액에 "10%"와 "기준금리(현 0.5%)+3.5%" 중 낮은 비율을 곱한 월차임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됩니다.
예시) 전세가 5억 원일 경우 월세로 전환 시 (조정 전 기준)
1. 보증금 3억 원에는 월세 67만 원을 넘을 수 없음
전환되는 금액 2억 x 4% = 8,000,000원 / 12개월 = 666,666원/월
2. 보증금 2억 원에는 월세 100만 원을 넘을 수 없음
전환되는 금액 3억 x 4% = 12,000,000 / 12개월 = 1,000,000원/월
지난 7월 31일에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입법예고(2020. 8. 31. ~ 2020. 9. 10.) 했었습니다.
바로, 위에서 다룬 내용의 '법정 월차임 전환율 하향 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임차인이 전세로 거주하는 경우보다 월세로 거주하는 경우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어 이러한 부담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하향 조정했습니다.
기준금리(현 0.5%) + 3.5% → 기준금리(현0.5%) + 2%
법정 월차임 전환율 4% → 2.5%로 변경되면 현재 존속 중인 계약에도 적용되는 것일까? "
개정되는 시행령 시행 당시 존속 중인 임대차에 대하여도 적용하되, 시행 후 최초로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월 단위 차임으로 전환하는 경우부터 적용됩니다.
예시) 전세가 5억 원일 경우 월세로 전환 시 (조정 후 기준)
1. 보증금 3억 원에는 월세 42만 원을 넘을 수 없음
전환되는 금액 2억 x 2.5% = 5,000,000원 / 12개월 = 416,666원/월
2. 보증금 2억 원에는 월세 63만 원을 넘을 수 없음
전환되는 금액 3억 x 2.5% = 7,500,000원 / 12개월 = 625,000원/월
728x90
'경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3기 신도시 관심지역 사전청약 문자로 미리 받는 방법 (0) | 2020.09.16 |
---|---|
[계약갱신요구권] 부동산 임대를 하고 있다면 당장 알고 있어야 할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 (0) | 2020.09.10 |
[SOC 디지털화] 산사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비탈면 IoT 상시 계측 시스템' (0) | 2020.09.04 |
[SOC 관련] 디지털 뉴딜정책, 사회간접자본 사업 디지털화 한다! (0) | 2020.09.02 |
[평택 부동산 투자] 동삭동 모산근린공원 개발 / 모산저수지 수변산책로 (0) | 2020.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