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 관련] 디지털 뉴딜정책, 사회간접자본 사업 디지털화 한다!
안녕하세요.
머니 테크입니다!
한국판 뉴딜정책 중에 하나인 '사회간접자본 SOC사업 디지털화' 하는 정책이 있는데요.
무려 1조 1천577억 원을 투입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SOC사업에 디지털화를 시킨다는 게 무슨 말일까요?"
먼저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해 알아보자면,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해 주는 자본의 하나
예를 들면 교통시설(도로, 공항, 철도, 항만)과 전기 및 통신, 상하수도, 댐 등이 있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무상 또는 약간의 대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의 생산활동 및 소비활동 등 일반적 경제활동의 기초가 되므로 재화, 서비스 생산에 간접적으로 공헌하게 된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비대면화가 확산되고 있고 디지털 전환의 속도가 빨라지는 등 경제 사회 구조에서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요.
그래서 바로 이 사회간접자본(SOC)에 디지털을 입힌다는 정책을 내놓고 있는 것이죠.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현재의 아날로그식 국가 인프라 관리시스템을 스마트한 국가 인프라 관리체계로 전환하여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제고한다.
SOC 디지털화
1. 철도 분야
모든 철로에 전기설비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서 실시간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열차 내 '선로 안전점검 무인 검측시스템'을 통해 철도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SOC 디지털화
2. 도로 분야
전체 국도와 4차로 이상 지방 주요 간선도에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구축하여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의 원활한 주행과 안전한 도로환경을 만드는데 활용된다.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자동차 간 또는 자동차와 교통인프라 간 상호 통신을 통해 협력하는 시스템
SOC 디지털화
3. 하천 분야
2022년까지 하천관리용 CCTV와 국가하천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하천의 수재해 대응과 하천관리 효율성을 향상할 계획에 있다.
자동, 원격 제어시스템으로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홍수 재해 시 물난리 걱정은 줄어들 전망이다.
SOC 디지털화
4. 공항 분야
2022년까지 전국 15개 공항에 항공기 탑승권, 신분증, 지문, 얼굴정보 등을 통합한 비대면 생체인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One-ID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항공기 탑승수속 절차를 비대면 방식으로 간소화하고, 신분증과 탑승권 등 확인에 있어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2022년까지 총사업비 8.2조 원(국비 5.5조)을 투자하고 일자리는 7만 3천 개 창출
2025년까지 총사업비 14.8조 원(국비 10조)을 투자하고 일자리는 14만 3천 개 창출
2020년 7월 14일에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전체 본입니다.
참고하실 분들은 다운로드 받아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국토교통부
'경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대책]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 (0) | 2020.09.10 |
---|---|
[SOC 디지털화] 산사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비탈면 IoT 상시 계측 시스템' (0) | 2020.09.04 |
[평택 부동산 투자] 동삭동 모산근린공원 개발 / 모산저수지 수변산책로 (0) | 2020.08.26 |
대서양의 미세 플라스틱 무게가 무려 2,100만톤! (0) | 2020.08.19 |
[미국 위챗 금지] 중국 거대기업 텐센트(Tencent)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0) | 2020.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