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교육] 보호구(송기마스크, 전동식호흡보호구)의 종류 및 착용방법 사용방법 관리
안녕하세요.
머니 테크입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서 보호구 종류 중 하나인
송기마스크와 전동식 호흡보호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저번에 포스팅했던 보호구에 관한 자료는 공유하오니 참고하시면 되시겠습니다.
다른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게시글에서 찾아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0/07/30 - [생활정보 노트] -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공유, 보호구(방진 방독마스크)의 종류 및 사용방법 관리
2020/07/26 - [생활정보노트] - (법정 의무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 :: 보호구의 종류 및 사용법_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
2020/07/25 - [생활정보노트] - (법정 의무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 :: 보호구의 올바른 이해
■ 보호구의 사용 (송기마스크)
① 의의
: 산소 농도가 18%미만이거나 유해물질 농도가 2%(암모니아 3%) 이상인 장소에서 작업할 때 착용
② 종류 및 사용 범위
- 폐력흡인형
: 착용자의 폐렴으로 호스 끝에 고정된 신선한 공기를 호스 안면부를 통해 흡입하는 구조로써 호스는 원칙적으로 안 지름 19mm 이상, 길이 10m 이하여야 한다.
- 송풍기형
: 전동 또는 수동 송풍기로 신선한 공기를 호스 안면부로 보내는 구조로써 송기 풍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수동에는 공기조절 주머니도 가능)와 송풍기에는 교환 필터를 갖춰야 한다.
안면부로도 공기를 보내 송풍기가 사고로 정지됐을 때 폐렴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일정 유량형
: 압축 공기관, 고압 공기용기, 공기압축기 등으로부터 중압 호스와 안면부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구조, 중간에 송기 풍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 압축공기 중의 분진과 기름 미스트 등을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 디맨드형 및 압력 디맨드형
: 일정 유량형과 같은 구조로서 공급밸브를 갖추고 착용자의 호흡량에 따라 안면부 내로 송기 한다.
보통 때는 디맨드형 또는 압력 디맨드형을 사용하다가 급기 중단 등 긴급한 때나 작업상 필요할 경우에는 고압공기용기에서 공기를 받아 공기호흡기로 사용하는 구조.
고압공기용기와 폐지 밸브는 KSP8155 규정을 따른다.
③ 사용 대상 작업
- 산소가 결핍되거나 농도를 모르는 장소
- 쇼트 작업같이 고농도 분진이나 유해물질의 증기, 가스가 발행하는 장소
- 강도가 높거나 장시간 하는 작업
- 유해물질의 종류나 농도가 불분명한 장소
- 방진, 방독마스크 착용이 불가능한 장소
④ 선정 시 유의 사항
- 격리되거나 행동반경이 크고 공기 공급원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작업할 때는 공기호흡기를 지급하고 기능을 점검한다.
- 위험도가 높은 곳에서는 폐력흡인형 사용을 피한다.
- 화재 폭발 위험지역에서는 방폭형을 사용한다.
- 공기가 오염된 곳에서는 폐력흡인형이나 수동형은 사용하지 않는다.
⑤ 사용방법 및 관리
- 여과장치로 기름, 분진, 유해물질을 걸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
- 공급 공기의 압력은 1.75kg/cm2이하가 좋으며,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때는 압력을 조절한다.
- 수동 송풍기형은 장시간 작업할 때 2명 이상이 교대한다.
- 실린더 내 공기 잔량을 점검해 알맞게 대처한다.
- 작업 전에 도구 점검, 착용법 지도, 착용 상태 확인을 한다.
- 작업 전에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
- 작업 중 다음과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즉시 대피한다.
송풍량 장소 / 호흡 공기의 온도 상승 / 가스나 기름 냄새 발생
기타 이상 상태 / 호흡 공기에 수분이 섞임
⑥ 착용방법
압축공기 공급원, 중압 호스, 유량 조절 장치, 안면부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 → 압축공기 공급원과 여과 장치를 연결
→ 중압 호스를 유압 조절장치 및 여과장치에 연결하고 연결관을 안면부 및 유량조절장치에 연결
→ 장착재를 허리에 착용한 뒤 누설이 없도록 안면부를 착용 → 공급되는 공기의 필요 공기 유량과 공기압 이상 유무를 확인
→ 송기마스크 착용 이상 유무를 확인(작업안전수칙 준수)
■ 보호구의 사용 (전동식 호흡보호구)
① 의의
- 고농도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 시
- 장시간 또는 신체 부담이 큰 근력 작업을 할 때 유해물질의 흡입을 막고 작업자의 호흡을 돕는다.
② 종류별 보호 내용
- 전동식 방진마스크
: 분진 등이 호흡기로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 여과재를 전동장치에 부착해 사용한다.
- 전동식 방독마스크
: 유해물질과 분진 등이 호흡기로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 정화 통과 여과재를 전동장치에 부착해 사용한다.
- 전동식 후드 및 전동식 보안면
: 유해물질과 분진 등이 호흡기로 체내애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 정화통과 여과재를 전동장치에 부착해 사용하며 후드로 머리와 안면부, 목, 어깨 부분까지 보호한다.
③ 전동식 후드와 전동식 보안면의 등급과 사용장소
- 전동식 후드 및 전동식 보안면의 종류
: 분진, 미스트, 흄용 / 시안 화수 소용 / 유기화학물용 / 아황산용 / 할로겐용 / 암모니아용 / 황화수 소용
- 등급별 사용장소
: 전동식 특급 (베릴륨 등 독성이 강한 물질을 함유한 분진 등이 발생하는 장소)
: 전동식 1급 (전동식 특급 착용 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장소)
: 전동식 2급 (전동식 특급 및 전동식 1급 착용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장소)
④ 사용방법 및 관리
- 사용 전에 배터리 충전과 펌프 작동 상태를 확인한다.
- 산소 결핍 위험지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방진, 방독마스크의 사용과 관리 기준을 따른다.
'교육정보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교육] 안전대의 종류와 사용방법 및 관리 (0) | 2020.08.29 |
---|---|
[산업안전보건교육] 보호복, 방열복의 종류 및 착용방법 (0) | 2020.08.17 |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공유, 보호구(방진방독마스크)의 종류 및 사용방법 관리 (0) | 2020.07.30 |
(법정의무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 :: 보호구의 종류 및 사용법_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 (0) | 2020.07.26 |
(법정의무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 :: 보호구의 올바른 이해 (0) | 2020.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