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의무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 :: 보호구의 종류 및 사용법_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
02. 보호구의 종류 및 사용법
■ 보호구 착용 관련 대법원 판례
① 소음성 난청과 귀마개 착용
- 소음성 난청으로 직업병 판정을 받아 회사에 배상을 요구
- 대법원에서 귀마개 미착용을 이유로 근로자 과실을 60% 인정
② 높은 곳에서 작업 중 떨어진 재해와 안전대 착용
- 높은 장소에서 작업 중 높이 8m 아래로 떨어져 다침
-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아 근로자 과실을 40%로 인정
③ 오토바이 운전과 안전모 착용
- 오토바이를 운전하다 뒤에서 달려오던 차량에 치이는 사고를 당함
-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실을 20%로 인정
■ 보호구의 종류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고 있는 보호구는 다음과 같다.
- 보안경 : 차광 보안경, 일반 보안경
- 안전모 : 가죽 A종, AB종, AE종, ABE종
- 청력보호구 : 귀마개, 귀덮개
- 보안면 : 용접용 보안면, 일반 보안면
- 방진마스크 : 전면형, 반면형
- 방독마스크 : 전면형, 반면형
- 송기마스크 : 호스 마스크, 에어라인 마스크, 복합식 에어
- 전동식 호흡보호구 : 전동식 방진마스크, 전동식 방독마스크, 전동식 후드 및 전동식 보안면
- 안전장갑 : 절연장갑,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안전대 : 벨트식, 안전 그네
- 보호복 : 방열복, 화학물질용 보호복
- 안전화 : 가죽제 안전화, 고무제 안전화, 정전기 안전화, 발등 안전화, 절연화, 절연 장화

■ 보호구 착용 대상 작업
: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유해˙위험한 작업을 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보호구를 착용토록 정하고 있다.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직업 | 안전모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물체에 끼이거나 감전, 정전기 대전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화 |
소음, 강렬한 소음, 충격소음이 일어나는 작업 | 청력보호구 |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는 선창 등의 하역작업 | 방진마스크 |
허가 대상 유해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작업 | 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 | 호흡용 보호구 |
- 밀폐공간에서 위급한 근로자를 구출하는 작업 - 탱크, 보일러, 반응탑 내부 등 통풍이 불충분한 장소에서의 용접작업 - 지하실이나 맨홀 내부, 그 밖에 통풍이 불충분한 장소에서 가스 공급 배관을 해체, 부착하는 작업 - 밀폐된 작업장의 산소농도 측정 업무, 측정장비와 환기장치 점검 업무, 근로자의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 지도, 점검 업무 - 밀폐공간 작업 전 관리감독자 등의 산소농도 측정 업무 |
송기마스크 |
- 유기화합물 취급 특별장소에서 단시간 유기화합물을 취급하는 작업 - 유기화합물을 넣었던 탱크 내부에서의 세척 및 페인트칠 작업 - 유기화합물 취급 특별장소에서 유기화합물을 취급하는 업무 - 밀폐 설비나 국소 배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 유기화합물을 취급하는 업무 -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 설치된 환기장치 내의 기류가 확산될 우려가 있는 물체를 다루는 업무 -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서 유기화합물의 증기 발산원 밀폐설비를 개발하는 업무 |
송기마스크 방독마스크 |
산소결핍증이나 유해가스로 근로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 작업 | 안전대 송기마스크 |
석면 해체, 제거작업 | 방진마스크, 송기마스크, 전동식 호흡보호구, 고글형 보안경, 전신보호복, 보호장갑과 보호신발 |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용접작업 | 보안면 |
■ 보호구의 사용 (안전모)
① 안전모
- 물체의 떨어짐, 날아옴, 부딪힘으로부터 근로자 머리를 보호
-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근로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
- 전기작업 시에는 감전 재해를 예방
② 종류별 보호 위험
- A종 : 떨어지거나 날아오는 물체에 맞을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함
- AB종 : 떨어지거나 날아오는 물체에 맞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질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함
- AE종 : 떨어지거나 날아오는 물체에 맞을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 부위 감전 위험을 방지함
- ABE종 : 떨어지거나 날아오는 물체에 맞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짐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 부위 감전 위험을 방지함
③ 사용방법 및 관리
- 착장체 조절 나사로 자신의 머리 크기에 맞게 착용한다.
- 착용한 다음 턱끈을 조여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 착용 중에 모체가 충격을 받거나 변형되면 폐기한다.
- 모체를 유기용제 등으로 닦거나 세척하지 않는다.
- 턱끈 등 착장체는 변형되거나 인증되지 않은 부품으로 교체하지 않는다.
④ 안전모 착용 방법
- 모체, 착장제, 충격흡수제 및 턱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자신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착장제의 머리 고정대를 조절한다.
- 귀의 양쪽에 턱끈이 위치하도록 착용한다.
- 안전모가 벗겨지지 않도록 턱끈을 견고히 조여서 고정한다.
■ 보호구의 사용 (안전화)
① 안전화
- 중량물의 떨어짐이나 끼임 등에 따른 발과 발등 보호
-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찔림 위험으로부터 발바닥 보호
- 감전 예방과 정전기의 인체 대전 방지
- 각종 화학물질로부터 발을 보호
② 종류별 보호 위험
- 가죽제 안전화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발을 보호
- 고무제 안전화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발을 보호하고 내수성과 내화학성을 갖춤
- 정전기 안전화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발을 보호하고 정전기의 인체 대전을 방지함
- 발등 안전화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발과 발등을 보호
- 절연화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발을 보호하고 저압 감전을 방지함
- 절연 장화 : 고압 감전 방지와 방수를 겸함
③ 등급별 사용장소 구분
- 중 작업용 : 광업·건설업·철광업의 원료 취급·가공, 강재 취급·운반, 건설업 등의 중량물 운반, 중량이 큰 가공 대상물 취급작업을 하며 날카로운 물체에 찔릴 우려가 있는 장소
- 보통 작업용 : 기계공업·금속가공업·운반업·건축업 등 공구 가공품을 손으로 취급하는 작업 및 차량 사업장, 기계 등을 운전·조작하는 일반 작업장으로서 날카로운 물체에 찔릴 우려가 있는 장소
- 경작업용 : 금속 선별, 전기제품 조립, 화학제품 선별, 반응장치 운전, 식품 가공업 등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취급하는 작업장으로서 날카로운 물체에 찔릴 우려가 있는 장소
④ 사용방법 및 관리
- 정전화는 감전 위험장소에서 착용하지 않는다.
- 안전화는 훼손, 변형하지 않는다. 특히 뒤축을 꺾어 신지 않는다.
- 절연화, 절연 장화는 구멍이나 찢김이 있으면 즉시 폐기한다.
- 내부가 항상 건조하도록 관리한다.
- 가죽제 안전화는 물에 젖지 않도록 한다.
- 안전화가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으면 물에 씻어 말린다.
■ 보호구의 사용 (안전장갑)
① 안전장갑
- 전기 작업에서의 감전 예방
- 각종 화학물질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기능
② 종류별 보호 위험
- 내전압용 절연장갑 : 고압 감전 방지 및 방수를 겸함
-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유기용제, 산/알칼리성 화학물질 접촉 위험에서 손을 보호하고 내수성, 내화학성을 겸함
③ 등급별 사용장소 구분
- 용도와 작업 내용, 수준에 맞아야 한다.
-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00등급에서 4등급까지이며, 숫자가 클수록 두꺼워 절연성이 높다.
- 화학물질용 안전장갑은 1~6의 성능 수준이 있으며, 숫자가 클수록 보호 시간이 길고 성능이 우수하다.
- 화학물질용 안전장갑은 왼쪽의 화학물질 방호 그림을 확인한다.
- 화학물질용 안전장갑은 사용물질에 맞는 보호 성능이 있는지 확인한다.
- 사용 화학물질과 제품 인증 화학물질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조사에 정보를 요청해 적합한 것으로 바꾼다.
※ 색상별로 갈색 00등급, 빨간색 0등급, 흰색 1등급, 노란색 2등급, 녹색 3등급, 등색 4등급으로 구분
④ 사용방법 및 관리
- 사용 전에 구멍이나 찢김이 확인되면 즉시 폐기한다.
- 내전압용 안전장갑은 항상 건조한 상태로 사용한다.
-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기계, 화학, 열에 손상되거나 물리적 이상을 보이면 즉시 폐기한다.
-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제품에 표시된 최대 사용 전압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유류, 휘발 용제, 산/알칼리 등에 매우 약하므로 절대로 접촉하지 않는다.
[산업안전보건교육] 안전대의 종류와 사용방법 및 관리 (0) | 2020.08.29 |
---|---|
[산업안전보건교육] 보호복, 방열복의 종류 및 착용방법 (0) | 2020.08.17 |
[산업안전보건교육] 보호구(송기마스크, 전동식호흡보호구)의 종류 및 착용방법 사용방법 관리 (0) | 2020.08.15 |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공유, 보호구(방진방독마스크)의 종류 및 사용방법 관리 (0) | 2020.07.30 |
(법정의무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 :: 보호구의 올바른 이해 (0) | 2020.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