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노트/부자 경제학

[재테크 경제용어] '단리'와 '복리'의 개념과 차이 (+예시)

by Life Briefing [L.B.] 2020. 5. 19.
728x90
반응형

 

경제 필수용어

 

 

돈의 개념을 알기 시작하는 나이는 사람마다 당연히 다르다.

필자인 '머니테크'의 생각은 가정교육과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기적·간헐적 용돈, 부모님 지인의 용돈, 성과물에 대한 보상금, 세뱃돈 등 일을 시작하기 전에는 보통 그러한 것들로부터 수입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돈을 만지기 시작하면서 기본적으로 은행에서 입출금 통장을 제일 먼저 만들게 된다.

그 다음은 무엇일까?

아마도, 이율은 적더라도 원금의 손실이 없는 안정적인 투자처인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일 것이다.

이것이 보통의 사람들이라면 투자의 첫걸음이지 않을까 싶다.

그냥 두면 뭐하겠나.

당장 사용하지 않을 돈이라면 1%의 이자라도 받는게 이득이지.


은행에 가서 상품을 가입하려고 하면 은행원들이 이것저것 이해할 수 없는 말들을 쏟아낸다.

기본적으로 경제용어를 알고 대화를 하면 쉬운 것들인데 모르고 가면 당연히 이해하지 못해서 '네', '아 네', '아~', '좋네요'라는 영혼 없는 대답만 되풀이하게 될 것이다.

반면 알아 들을 수 있고 대화가 통하면 은행원의 상품 권유의 말들이 정말 좋은 것인지 아니면 나에게 단순히 영업을 하려고 하는 것인지 분별할 수 있다.

 

그러니 우리 모두 공부하자. 실생활에 정말 도움이 되고 써먹을 수 있는 것이 경제공부이다.

인생 별로 살아보진 않았지만 재테크 경제를 공부하는 것은 죽을 때까지 평생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는 것이 힘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럼 오늘의 경제용어인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무엇일까?

 

단리와 복리의 차이

  단리말 그대로 이자에 대한 재투자 없이 정해진 기간만큼 정해진 이율로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다. 반면 복리발생한 이자를 재투자하고 그것에 대한 이자를 다시 지급하는 방식이므로 인플레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서운하게도 그것도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인플레는 실시간 살아 움직인다. 그것은 편의상 연간으로 계산할 뿐 사실 화폐가치의 하락은 장기적으로는 지속적이고 꾸준하다. 즉, 복리 효과는 기간별로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하겠지만 전체 추세로 본다면 비록 0.0001퍼센트일망정 매일 실시간으로 가중된다. 따라서 연간 복리이자는 인플레와 구조가 같다는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또 같은 관점에서 '세후 복리 이율'이 인플레 이상일 경우의 복리 예금은 반드시 자산가치를 보전해준다는 것 역시 맞지만 틀린 말이다. 왜냐하면 복리의 경우에는 재투자기간의 마술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복리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재투자기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원금이 커진다. 여기서 말하는 재투자란 원금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3개월, 6개월, 12개월 단위로 지급받아 그것을 재투자하는 것인데, 이때 수익은 당연히 3, 6, 12개월의 순으로 커질 것이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10퍼센트 이율로 3, 6, 12개월 단위로 재투자하면 1년 후 그 가치는 각각 110만 3,813원, 110만 2,500원, 110만원으로 차이가 나게 된다.

 

  즉, 만기가 같더라도 재투자 단위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수익금액이 크게 달라지므로 만약 실제 투자기간이 10년이나 30년이라면 그 차이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래서 앞서 복리이자 4.5퍼센트의 확정지급형 보험저축을 가입할 경우 3개월 재투자냐, 6개월이냐, 아니면 연간이냐에 따라 인플레와 세금을 감안할 경우 이익이 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 것이다.

 

  복리의 위력을 실감있게 보여주는 대표적 예가 주식투자로만 2015년 기준 약 600억 달러의 재산을 모아 빌 게이츠에 이어 세계 두 번째가 부자가 된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이다. 도대체 투자에서 얼마나 높은 수익률을 올려야 그토록 어마어마한 돈을 벌 수 있을까? 워렌 버핏이 본격적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한 1965년 이후 2015년까지 50년 동안 연평균 투자수익률은 약 24% 정도로 알려져 있다.

 

  같은 기간 미국 S&P500 주가지수 수익률이 연평균 약 12%인 것과 비교했을 때,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 아님에도 어떻게 그렇게 큰 돈이 되었을까? 그 비밀은 장기투자와 복리에 있다. 12%와 그것의 2배인 24%의 수익률 차이가 50년 동안 반복되면서 복리의 결과로 무려 160배 이상의 투자성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반면 이러한 복리의 위력이 투자자에게는 축복이 되지만 채무자에게는 저주가 된다. 복리에 의해 저축액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처럼 부채의 경우도 복리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 8%의 금리로 차입을 한 경우라면 약 9년 만에 갚아야 할 원리금이 두 배가 되고, 만일 연 26%의 연체금리가 적용되는 카드 대금을 계속 연체한다면 약 3년 만에 갚아야 할 대금이 두 배로 증가한다.

 

  더욱이 사채시장에서 연 30~40%의 고금리 자금을 사용한 경우라면 부채액은 단기간 내에 엄청난 액수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복리의 저주를 당하지 않으려면 평소 계획적인 지출을 통해 가급적 고금리 대출이나 카드 연체를 피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복리의 마술이다.


예시) 1억원을 연 5%의 수익률로 복리 투자했을 때와 연 6%의 수익률로 복리 투자했을 때 5년 뒤와 30년 뒤의 결과는 각각 얼마나 다를까?

 

ⓐ 1억원을 연 5%의 수익률로 5년 동안 투자한 미래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억원 x (1+0.05)^5 = 1억 2,762만원

 

ⓑ 1억원을 연 6%의 수익률로 5년 동안 투자한 미래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억원 x (1+0.06)^5 = 1억 3,382만원

 

따라서 1%의 수익률의 차이가 5년 후 620만원의 차이를 만든다.

 

ⓒ 1억원을 연 5%의 수익률로 30년 동안 투자한 미래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억원 x (1+0.05)^30 = 4억 3,219만원

 

ⓓ 1억원을 연 6%의 수익률로 30년 동안 투자한 미래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억원 x (1+0.06)^30 = 5억 7,434만원

 

따라서 1%의 수익률의 차이가 30년 후 1억 4,215만원의 차이를 만든다.

 

∴ 결과적으로 복리 효과로 인해 단 1%의 수익률의 차이가 투자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얼마나 위력을 발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도서]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온라인] NAVER지식백과 금융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