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노트/부자 경제학

[재테크 경제용어] 채권의 개념/형태, 채권의 분류/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by Life Briefing [L.B.] 2020. 5. 20.
728x90
반응형

경제용어 '채권'

 

 

1. 채권의 개념

채권이란 확정이자부 유가증권(Fixed Income Securities)으로 정부, 공공기관, 특수법인과 주식회사의 형태를 갖춘 기업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비교적 거액의 장기자금을 일시에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

 

2. 채권의 본질

✔️ 확정이자부증권

: 채권은 발행 시에 채무자가 지급하는 이자와 상환금액이 확정되어 있거나 또는 그 기준이 정해져 있는 것이 특징임

✔️ 기한부 증권

: 채권은 원리금의 상환기간이 사전에 정해져 있는 기한부 증권임.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잔존기간이 투자 결정 요소로서 중요하며, 실제 금리는 금융동향에 따라 변동하므로 잔존기간이 채권투자수익에 큰 영향을 줌.

✔️ 이자지급 증권

: 발행자는 주식과 달리 수익의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이자를 지급해야 함.

✔️ 자금운용수단

: 채권은 주식보다 금리체계의 객관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확정이자부 증권과 같이 자금운용수단으로써 이용함.

✔️ 장기 증권

: 채권은 장기 증권임을 본질로 함. 따라서 유통시장의 존재가 필수적이며 증권의 보관, 이자지급 및 수령, 증권의 관리 등에 비용과 인력이 필요함.

✔️ 상환증권

: 채권은 타인에게 빌린 부채이므로 지급능력이 있는 한 반드시 발행된 채권의 원리금을 정해진 시기에 지급하여야 함.

 

3. 채권과 주식의 차이

구분 채권 주식
자본귀속형태 타인자본 자기자본
자본 이용기간 기한부 영속적
보수의 형태 및 성격 이자. 확정부 배당. 가변적
조달원금 만기시 원금상환 상환의무 없음
증권소유자 채권자 주주
경영 참가권 없음 없음

 

4. 채권의 특성

✔️ 안정성(safety)

채권은 보통의 차용증서와는 달리 공신력이 높은 정부나 금융기관 또는 상법상의 주식회사가 일반 대중을 상대로 발행하기 때문에 법적인 제약과 보호를 받게 된다.

 

✔️ 수익성(profitablity)

이자소득 + 자본소득

 

✔️ 유동성(Liquidty)

현금으로 전환 가능

 

5. 채권의 분류

분류구분 종류
발행주체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보증유무 보증채, 무보증채
이자지급방법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 단리채, 거치채
지급이자 고정금리채권, 변동금리채권
상환기간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원금상환방법 만기상환채, 분활상환채
표시통화 원화표시채, 외화표시채
모집방법 사모채, 공모채
발행가액 액면발행, 할인발행, 할증발행

 

5-1. 발행주체 따른 분류

 

✔️ 국채(Government Bond)

국채는 헌법 제93조와 예산회계법 제4조에 의거하여 국회의 의결을 얻은 후에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정부가 원리금을 지급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사업 및 사회복지정책 등을 위한 재정지출이 증가할 때 재원조달 수단으로 국채 발행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의 국채로는 국채 전문딜러(Primary Dealer ; 1997년 7월 이후 시행)의 경쟁입찰에 의해 발행되는 국고채권, 외국환 평형기금채권 등이 있으며, 이밖에 국민주택 1종 채권, 국민주택 2종 채권(1999년까지 발행) 양곡기금채권(2000년 1월 이후 국고채권으로 편입) 등이 있다.

 

✔️ 지방채(Municipal Bond)

지방채는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재정법의 규정에 의거하여 재원확보를 목적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국채보다 발행액수가 적고, 그 신용도도 국채에 비해 떨어져 유동성이 낮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발행하기 때문에 발행조건이 상이하다.

우리나라의 지방채로는 특정 사업의 재원조달을 위한 지역개발 공채와 서울 도시철도 공채 및 인천, 대구, 대전, 광주 등의 도시철도 공채가 있다.

 

✔️ 특수채(Specific Laws Bond)

특수채는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공채와 사채의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어 안정성과 수익성이 비교적 높다.

우리나라의 특수채로는 한국전력공사채권, 토지개발공사채권, 수자원공사채권, 한국 도로공사채권, 한국가스공사채권, 부실채권 정리기금채권, 예금보험기금채권 등이 있다.

 

✔️ 금융채(Financial Bond)

금융채는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다는 점에서 특수채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나 이 법인들이 금융기관이라는 점에서 특수채와 구분된다.

우리나라의 금융채로는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금융채권(중소기업은행) 등이 있으며, 한국은행에서 통화조절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통화안정증권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장기대출자금의 조달을 목적으로 한다.

 

✔️ 회사채(Corporate Bond)

회사채는 상법상의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국가에 의해 원리금이 보장되는 국공채와는 달리 회사채는 원리금 적기상환능력이 채권 발행기업 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5-2. 보증 유무에 따른 분류

 

✔️ 보증채

보증채는 공신력이 높은 제삼자가 채권의 원금상환 및 이자지급을 보증하는 채권이다. 보증채에는 정부보증채와 일반보증채가 있는데 정부보증채는 보증의 주체가 정부인 국채가 이에 속하며 일반보증채는 금융기관이 지급을 보증하는 채권으로 일반적인 보증사채가 이에 속한다.

 

✔️ 무보증채

무보증채는 정부나 금융기관의 지급보증이 없이 단지 발행주체의 자체 신용도에 따라서 발행되는 채권이다. 무보증채는 일반적으로 보증채에 비해 원리금 적기 지급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간주되므로 신용도가 우수한 발행자에 의해서만 발행되는 경향이 있다.

 

 

5-3. 이자지급방법에 따른 분류

 

✔️ 이표채

정해진 단위기간마다 이자를 주기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의 채권이다. 실제로 채권의 권면에 이 표가 붙어있어 이자지급일에 이 표를 떼어 일정이 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국채, 대부분의 회사채 및 금융채 일부가 이표채로 발행되고 있으며 이자지급 주기는 대부분 3개월, 6개월 단위로 이자가 지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표면이율이 10%이고 만기가 3년인 3개월 후급 이표채의 경우 매 3개월마다 지급되는 이자금액은 액면 10,000원을 기준으로 250원(10,000x0.1/4)이며 만기에는 이자 250원과 원금 10,000원을 받게 된다. 이때 실제 이자금액은 세금을 공제해야 한다.

 

✔️ 할인채

할인채는 만기 시까지의 총이 자를 채권 발행 혹은 매출 시에 미리 공제하는 방식으로 선지급하고 만기에는 투자원금에 해당하는 액면금액만 지급하는 형태의 채권으로 통화안정증권(이채 표인 2년 물을 제외한 14 일물~564일 물의 경우) 등 금융채 일부가 이에 속한다.

예를 들어 표면이율이 10%이고 만기가 3년 할인채에 대한 이자는 액면 10,000원당 3,000원이 된다. 할인채의 발행일에 이자가 선지급되므로 액면금액 10,000원에서 선지급되는 이자 부분을 제외한 7,000원이 발행 가격이며 만기에는 10,000원을 받게 된다.

 

✔️ 복리채

복리채는 가장 일반적인 이자지급 방식 중의 하나로 채권 발행 후 만기까지 이자지급 단위기간의 수만큼 복리로 이자가 재투자되어 만기 시에 원금과 이자가 동시에 지급되는 채권이다.

이러한 채권에는 국민주택채권 1,2종과 지역개발 공채, 금융채 일부가 해당된다. 이자가 원금화 되는 재투자 단위기간을 전화기간(interest conversion period)이라 하고, 연간 발생하는 재투자 횟수를 전화 횟수라 하며 연단 위로 표시되는 채권의 표면이율이 동일하더라도 전화 횟수가 커지면 채권의 만기상환금액은 증가한다.

 

✔️ 단리채

단리채는 발행된 이자가 재투자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만기에 원금과 함께 일시 지급되는 채권이다.

 

✔️ 거치 분할상환채

거치 분할상환채는 원금을 일정기간 동안 거치한 후 분할 상환하는 채권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99년 8월 이전에 발행된 서울 도시철도채권을 들 수 있다.

표면이율 6%, 5년 거치 5년 원금 균등 분할상환방식의 경우, 첫 번째 이자 및 원금의 분할지급은 채권 발행 후 5년 차에 이루어지고 그 후 매년 정해진 비율에 따라 원금상환과 이자지급이 이루어진다.

 

 

5-4. 지급이자의 변동 유무에 따른 분류

 

✔️ 고정금리부 채권(Straight Bond)

고정금리부 채권이란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일까지 금리변동에 상관없이 발행 당시의 확정된 표면이율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이며, 채권 발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변동금리부 채권(Floating rate Bond)

변동금리부 채권은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일까지 기준금리(CD 등)에 연동되어 지급이자율이 재조정되는 채권이다.

 

 

5-5. 상환기간에 따른 분류

 

✔️ 단기채(Short-term Bond)

우리나라에서는 통상적으로 1년 이하의 채권을 말하며, 통화안정증권과 금융채 중 일부 등이 이에 속한다.

 

✔️ 중기채(Mid-term Bond)

우리나라에서는 통상적으로 1년 초과 5년 이하의 채권을 말하며 대부분의 회사채 및 금융채를 포함한 특수채, 국민주택채권 1종과 국고채권 일부 등이 이에 속한다.

 

✔️ 장기채(Long-term Bond)

우리나라에서는 통상적으로 5년 초과의 채권을 말하며 국민주택채권 2종, 국고채권 중의 일부 및 공사채 일부 등이 이에 속한다.

 

 

5-6. 원금상환방법에 따른 분류

 

✔️ 만기상환채

채권의 원금을 만기일에 일시 상환하는 채권으로 일반적인 발행형태이다.

 

✔️ 분할상환채

ⓐ 정기 상환채

채권발행일로부터 일정한 기간을 거치한 후에, 일정액을 정기적으로 추첨 또는 매입 소각의 방법에 의하여 상환하고 잔액을 최종상 환일에 상환하는 채권을 말한다.

ⓑ 임의상환채

채권발행일로부터 만기상환기일 내의 어느 날이든지 발행주체의 상환용 여유자금에 따라 발행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환할 수 있는 채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아니하나, 발행주체의 여유자금여부에 따라 외부로의 지금이자 유출을 막기 위해 자사 채권 소지인으로부터 채권을 매입하여 소각하는 방법으로 상환하는 경우이다.

 

 

5-7. 표시통화에 따른 분류

 

✔️ 자국 통화 표시채

발행 국가의 법정통화로 채권의 권리를 표시한 채권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원화표시에 의해 채권이 발행된다.

 

✔️ 외화표시채

자국 통화 이외에 타국의 통화로 채권에 관련된 권리를 표시한 채권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해외발행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외평채권의 일부가 이에 속한다.

 

 

5-8. 모집방법에 따른 분류

 

✔️ 사모채

채권의 발행자가 특정의 몇몇 인수기관과 채권의 인수, 인도 계약을 맺어 발행하는 채권으로 발행기관이 제반 절차를 직접 수행하는 직접 발행의 형태를 취한다.

 

✔️ 공모채

채권의 발행자가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직접 발행과 간접발행의 두 종류가 있다.

ⓐ 직접발행

발행자가 투자자로부터 직접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직접 모집과 매출 발행이 있다. 직접 모집은 채권발행액을 미리 정하고 발행자가 직접 채권 투자자를 모집하며 채권 발행에 따르는 위험을 발행자 자신이 부담한다.

그리고 매출 발행은 발행총액을 정하지 않고 일정기간을 정하여 그 기간 내에 투자자의 신청에 따라 발행자가 직접 발행하며 매출된 금액이 발행액이 된다.

ⓑ 간접 발행

발행자가 채권 발행업무를 기관에 대행시켜 간접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발행사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으나 수수료 등 부대비용이 드는 것이 단점이다. 간접 발행에는 위탁모집, 총액인수, 잔액인수 등이 있다.

 

 

5-9. 발행 가격에 따른 분류

 

✔️ 액면발행

사채의 발행이율이 투자자가 기대하는 수익률과 일치하는 경우에 채권의 발행 가격을 액면 가격으로 함으로서 액면가격 전액을 납입시키는 방법이다.

 

✔️ 할인발행, 할증발행

채권의 발행이율이 투자자가 기대하는 수익률보다 낮은 경우에는 사채의 발행가격을 액면가격 이하로 하고, 발행이율이 투자자가 기대하는 수익률보다 높은 경우에는 채권의 발행가액을 액면가격 이상으로 하여 채권의 실질 수익률에 일치시키는 방법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회사채가 할인 발행 방식으로 발행되고 있다.

 

 

 

[재테크 경제용어] '단리'와 '복리'의 개념과 차이 (+예시)

돈의 개념을 알기 시작하는 나이는 사람마다 당연히 다르다. 필자인 '오리니'의 생각은 가정교육과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기적·간헐적 용돈, 부모님 지인의 용돈, 성과물

moneyis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