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업황 반등?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파운드리 6월부터 최대 가동

Life Briefing [L.B.] 2025. 2. 13.
반응형

삼성전자 파운드리, 셧다운 해제 후 6월부터 '풀캐파' 가동... 반도체 사업의 회복 신호?

목차
1. 서론 :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변화, 무슨 일이 있었나?
2. 셧다운 해제, 반도체 생산 정상화의 신호
3. 가동률 상승의 배경 : 엑시노스와 암호화폐 채굴기 수주 증가
4. HBM4와 로직 다이 생산 확대, 삼성의 새로운 기회
5. 미국의 대중 규제와 중국 의존도 문제
6. 향후 전망 :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미래는?
7. 결론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속 삼성전자의 방향성

 

 

1. 서론 :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변화, 무슨 일이 있었나?

반도체 업계는 글로벌 경기와 수요 변화에 따라 가동률을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삼성전자 역시 2023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에서 가동률 조정을 단행했고, 일부 생산라인을 셧다운(일시 가동 중단)하는 강수를 두었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수요 둔화와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하지만 최근 삼성전자가 셧다운을 해제하고 다시 생산라인을 '풀캐파(Full Capacity, 최대 생산능력)'로 가동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반도체 시장이 다시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LSI 사업부의 엑시노스 수주 증가와 중국발 암호화폐 채굴기 수요 회복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2. 셧다운 해제, 반도체 생산 정상화의 신호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파운드리 사업부의 수주 부진과 적자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생산라인을 중단하는 셧다운을 단행했다. 평택캠퍼스(P2, P3 공장)에서는 4nm, 5nm, 7nm 공정을 포함한 일부 라인의 가동이 절반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반도체 생산량도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4nm 공정의 수주가 다시 증가하면서 삼성전자는 생산라인을 점진적으로 복구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4년 6월부터는 평택캠퍼스의 파운드리 생산라인이 풀캐파로 가동될 예정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다시 시장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3. 가동률 상승의 배경 : 엑시노스와 암호화폐 채굴기 수주 증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 가동률이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시스템 LSI 사업부에서 생산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의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자사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외부 고객사에도 엑시노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 수요가 증가하면서 생산량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중국발 암호화폐 채굴기 수요 증가도 중요한 요인이다.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추진하면서 반도체 기반 암호화폐 채굴기의 주문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도 반도체 칩 공급을 확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동안 침체되었던 반도체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4. HBM4와 로직 다이 생산 확대, 삼성의 새로운 기회

최근 반도체 시장에서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6세대 HBM(HBM4)의 핵심 부품인 '로직 다이'생산이 삼성전자의 가동률 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HBM은 AI, 데이터 센터, 고성능 컴퓨팅(HPC)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차세대 AI 반도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로직 다이 생산을 확대하면서 파운드리 가동률을 다시 끌어올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5. 미국의 대중 규제와 중국 의존도 문제

하지만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이 완전히 회복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현재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삼성전자의 중국 고객사 수주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4nm 공정 주요 고객사 중 하나는 중국의 '바이두'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한 첨단 반도체 공급을 제한하면서, 삼성전자는 바이두 제품의 생산을 잠정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이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6. 향후 전망 :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미래는?

삼성전자가 6월부터 풀캐파 가동을 시작하면 반도체 시장 내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대중국 규제, 글로벌 경기 변동성, 그리고 반도체 기술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대만 TSMC와의 경쟁에서 첨단 공정(3nm 이하)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향후 파운드리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미국과 유럽의 고객사 확보를 통한 수익 구조 다변화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7. 결론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속 삼성전자의 방향성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는 셧다운을 해제하고 다시 생산가동률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여전히 미국의 대중국 제재와 글로벌 경쟁 심화라는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

앞으로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첨단 공정 기술력 강화, 신규 고객사 확보, 공급망 다변화 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향후 6월부터 본격화될 '풀캐파' 가동이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